학사과정 졸업시험 개요
학사과정 졸업종합시험
학사학위논문/졸업종합시험: 수학과 재학생 또는 복수전공자는 학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학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단, 본인의 희망 에 따라 이를 졸업종합시험으로 대치할 수 있습니다.
학사학위논문
학사학위논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학생은 우선 논문 연구지도교수와 상의하여 학사학위논문 심사요청서를 수학과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 후 논문지도교수의 지도 하 에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그 결과는 논문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사학위 논문심사결과보고서를 수학과에 제출해야 합니다.
수학과 졸업종합시험
수학과 학부과정에서 학습한 내용 중 기초필수 및 전공필수과목을 포함한 기본지식을 충실히 습득하였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으로 매 학기 1회(5월, 11 월) 실시하며, 본 시험에 응시를 원하는 학생은 공지된 기간 내에 졸업종합시험 응시원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졸업시험 응시원에 공통과목과 8개 선태과목 중 4개 과목을 선택하여 신청하여야 합니다.(단, 졸업시험 신청 후 무단 결석한 학생에게는 다음 한 학기 시험기회를 박탈합니다.)
- 공통과목
- ο MATH110 미적분학
- 선택과목(8과목)
- ο MATH120 응용선형대수
- ο MATH210 응용복소함수론
- ο MATH230 확률및통계
- ο MATH261 이산수학
- ο MATH301 현대대수학 I
- ο MATH311 해석학 I
- ο MATH351 수치해석개론
- ο MATH426 미분기하개론
졸업종합시험은 수학과에서 4년 동안 학습한 내용 중 기초필수 및 전공필수를 포함한 기본지식을 충실히 습득하였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수학과 졸업요건입니다.
과목별 시험범위
시험범위는 기초필수 과목인 미적분학과 전공필수 8과목 중 각자가 선택하는 4과목 입니다. 이 시험은 매 학기 1회 실시되며, 이에 응시하려면 해당 학기 초에 수학과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각 과목별 주요 시험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적분학
수열과 급수의 수렴 및 발산, 테일러 정리, Gradient, Directional derivatives, 극대 극소, Lagrange multipliers 등의 개념, Green정리, Stokes정리, Divergence정리를 포함하는 vector calculus등
확률 및 통계
Conditional probability, Probability distributions, Central limit theorem, Moment generating function, Estimation (MLE등)
이산수학
집합과 관계, 앨고리즘과 분석, 회귀관계, 그래프이론, Boolean대수, 논리적 회로
응용선형대수
Gauss 소거법, Projection onto subspaces,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Determinants
현대대수학 I
Group의 정의 및 예, Lagrange 정리, Homomorphism의 기본정리
응용복소함수론
Cauchy-Riemann equations, Cauchy integral formula, Residues, Maximum modulus principle 등
해석학 I
연속함수의 성질, Compact set의 성질, 수열의 수렴성 등
미분기하개론
Curve 와 surface의 곡률 및 기초정리
수치해석개론
Interpolation, integration, System of linear equations